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김성윤 기자 | 울산시는 4월부터 12월까지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재난 및 안전 사고 예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25년 지역특성형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2014년부터 시작돼, 읍면동의 자생단체 등을 통해 안전마을만들기협의회를 구성하고 지역 실정을 잘 아는 주민들이 스스로 범죄 및 재난 등 위험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울산시는 지난 2월에 사업 공고를 하고, 3월에는 구·군별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중구 약사동, 남구 선암동, 동구 남목2동, 북구 염포동, 울주군 두동면 남명마을 등 총 5개 마을을 선정했다.
예산은 총 2억 600만 원을 투입하며, ▲서행 표지판 설치 ▲안전울타리(펜스) 설치 ▲어린이 보호구역 조형물 설치 ▲계단조명 설치 및 벽화 시공 ▲야간바닥조명 설치 ▲안전홍보(캠페인) 등의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핵심인 지역특성형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이 살기 좋은 안전도시를 조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에는 중구 태화동, 남구 수암동, 동구 방어동, 북구 염포동, 울주군 범서읍 천상마을을 대상으로 ▲호스릴 비상소화장치 설치 ▲교통안전반사경 설치 ▲보안등 교체 ▲솔라표지병 설치 ▲방법용 감시카메라(CCTV) 설치 ▲생활안전교육 ▲안전홍보(캠페인)가 이뤄졌다.
또 지난해 사업 대상 지역 주민 235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 결과, 사업에 대한 주민인지도 81%, 사업 시행 후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 해소 81%, ‘안전사고 예방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