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일보 서울포커스 임광현 기자 |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오는 16일부터 17일까지 이틀간 기록관에서 5·18민주화운동 44주년 및 5‧18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13주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나-들의 오월, 기록을 만나다’를 주제로 5·18민주화운동기록관과 5·18기념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80년 오월 광주에 대한 개인의 경험, 시민 공동체, 집합적 오월의 기억들이 기록을 통해 어떻게 남겨지고 계승되는 지를 살펴본다.
특히 지난 2011년 5‧18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관련 연구 성과도 공유한다.
5‧18기록관은 전두환과 신군부에 대한 미국의 평가, 5‧18 발생배경 등에 대해 국내외 연구자들과 영화배우의 이야기로 국제학술회의를 시작한다.
지난해 기록관이 발간한 5‧18기록물 자료총서 5권 ‘미국이 바라본 5‧18민주화운동의 서막’의 편집과 감수를 맡은 신동일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팀장과 이재의 5‧18기념재단 연구위원을 비롯해 랜든 핸콕 미국 켄트주립대 교수, 마나베 유쿄 일본 도쿄대 교수, 영화 ‘서울의 봄’ 출연배우 김의성 씨 등이 대화를 나눈다.
최정기 전남대 교수가 진행하는 제1회의(구술기록 연구)는 ‘켄트 주립대학교 참변의 구술기록 맵핑을 통한 화해 촉진’에 대해 켄트주립대 제니퍼 메이프스와 사라 쿠프만 교수가 발표한다.
또 ‘광주5월민중항쟁사료전집의 문학적 의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정수남 전남대 교수), ‘학살의 연기와 가해자 증언의 윤리적 가능성’(임경규 조선대 교수)에 대한 발표에 이어 김연민 전남대 교수, 이영진 강원대 교수, 배주연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교수가 토론한다.
제2회의(문서기록 연구)는 이정선 조선대 교수의 사회로 ‘일본의 5‧18 기록유산’(마나베 유코 도쿄대 교수), ‘지극히 사적이지만 정치적인 기록: 80년 5월 어느 전경의 일기’(황옥자 전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오월 여성 증언의 역사: 출판물을 중심으로’(정경운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의 발제에 이어 임영언 재외한인학회장, 강소희 전남대 국문학과 교수, 박현정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팀장이 토론을 펼친다.
제3회의(세계기록유산 연구)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이후 기록유산 보존의 쟁점과 과제’(이동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전문관), ‘민주화운동 기록유산 보존의 현황과 과제’(이동문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팀장), ‘기록유산 보존 관리 방안: 늦봄 문익환 아카이브 운영 사례’(오명진 한국외국어대 정보기록학과 교수) 발표에 이어 정우석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연구사, 유경남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실장, 이정연 국가기록원 연구사 등이 토론한다.
초청행사로 진행하는 네트워크회의는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신대 5‧18연구센터,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4‧16기억저장소와 4‧16민주시민교육원, 대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제주4‧3연구소 등 세계기록유산 소장 기관과 민주주의와 인권 기록물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여러 기관·단체들이 참여한다.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은 “나와 또 다른 나, 나-들의 오월 기억이 기록을 통해 하나로 모아질 때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진실과 가치가 온전히 드러날 수 있다”며 “학술대회를 통해 기억과 기록의 의미를 되새기며 오월을 깊이 고민하고 새롭게 나아가는 ‘나-들’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행사 당일 배포되는 자료집과 동시통역기는 사전 등록자를 대상으로 선착순 제공되며, 포스터(기록관 누리집 탑재)에 포함된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사전 등록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