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일보 서울포커스 유창렬 기자 | 인천시사회서비스원는 최근 ‘인천시 긴급돌봄사업 모니터링 및 욕구조사’ 중간 보고를 했다고 21일 밝혔다.
긴급돌봄사업은 지난 2020년 저소득층 대상 코로나19로 생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시작해 지난해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했다.
질병, 부상, 주 돌봄자의 갑작스러운 부재 등으로 생긴 돌봄 공백을 보완하는 보편적 돌봄서비스다.
서비스 제공도 전국 사회서비스원 소속 종합재가센터만 맡던 것을 민간 서비스 기관으로 넓혔다.
현재 인천은 인천사서원 소속 부평, 미추홀, 강화종합재가센터 3곳과 민간 기관 13곳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군·구별 1~3개 기관을 배치했다.
이번 연구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와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찾는다.
연구 기간은 3월~12월이다.
지난해와 올해 6월까지 이 서비스를 이용한 인천시민은 각 198명과 260명 등 모두 458명이다.
올해 상반기 이용자 260명을 분석한 결과 82%는 1인 가구이고 나머지는 2인 가구로 나타났다.
성별은 10명 중 6명이 여성이었다.
이용 사유로는 중복으로, 갑작스러운 질병·부상을 꼽은 이들이 143명으로 가장 많았고 퇴원 후 돌봄, 주 돌봄자의 공백·부재 등이 각각 105, 104명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타 돌봄서비스 신청 후 대기는 55명이었다.
긴급돌봄 담당 공무원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7월 말 기준 군·구 평균 목표 달성률은 90.43%로 나타났다.
담당 공무원은 군·구마다 1명 씩 이다.
어려운 점으로는 예산 부족을 공통으로 꼽았다.
여기에 긴급돌봄사업 수행기관과 수행인력 대상 내실 있는 매뉴얼 교육, 신속한 서비스 이용 절차 개선, 장기적인 돌봄서비스 연계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긴급돌봄 이용 사례를 보면 60대 1인 가구 A씨는 부평구 동행정복지센터 도움으로 지난 8월 긴급돌봄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내용은 가사 지원과 신체돌봄, 이동지원 등이었다.
올해 초 갑자기 시력이 급격히 나빠졌지만 장애등급은 받지 않았고 장기요양등급은 신청했으나 진행 상황을 알지 못했다.
주거환경은 열악하고 주변 도움으로 끼니를 겨우 해결하는 상황이었다.
긴급돌봄서비스를 이용한 이후 주거환경 개선, 건강관리, 후원 물품 제공, 정서 지원, 안과 병원 동행 등으로 생활이 달라졌다.
장기요양등급 판정도 받아 장기요양서비스를 받을 예정이다.
연구는 이후 16개 제공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진행하고 인천시민의 긴급돌봄에 대한 욕구 분석을 거쳐 긴급돌봄에 대한 욕구 확인 및 향후 과제를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연구를 맡은 서윤정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긴급돌봄은 서비스 이용 대상자를 제한하지 않는 보편적 서비스인데다 1, 2인 가구 증가 등 사회가 변화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내년에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등, 지역사회에서 돌봄의 일상화가 점점 중요해지는 만큼 이렇게 틈새를 보완하는 돌봄서비스의 의미는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